임상시험 정보

승인완료

임상시험 승인일자 : 2019-07-16
최근 업데이트 일자 : 2021-08-25

임상시험 제목 중등도 및 중증 알츠하이머병 환자 대상 BPDO-1603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활성-대조, 제3상 임상시험
대상 질환 치매 대상 질환(상세) 알츠하이머병 업체명 현대약품(주)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0.01-2022.06 성별 전체
전체 대상자 수 712 국내 대상자 수 350 대상 연령 18세 이상

임상참여 문의

제품명 BPDO-1603 성분명 도네페질염산염, 메만틴염산염 의약품 제형 필름코팅정
의약품 개발사 현대약품(주) 개발사 국가 Korea,Republic of(대한민국) 개발지역 국내개발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국내허가여부 아니오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아니오
활성대조약 여부 대조약 여부 대조약 제품명 아리셉트정10밀리그램(도네페질염산염),에빅사정(메만틴염산염)
위약 여부
소재지 연구참여병원 연구책임자 진료과 전화번호 주소
충남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양영순 신경과, 교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순천향6길 31 , 30(건강증진센터 7층, 문서보관실)
경기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신혜은 신경과, 교수 -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327
충북 충북대학교병원 김아련 신경과, 교수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서울 세브란스병원 예병석 신경과, 교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임상참여 문의

선정기준
1. 임상시험 참여에 본인 또는 대리인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경우. 시험대상자의 서면 동의가 불가하여 대리인의 서면 동의만 진행된 경우에는 시험대상자의 구두 동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구두 동의에 대한 근거를 문서화한다.
2. 서면 동의 시점에 만 45세 이상의 남성 또는 여성 시험대상자.
3. 미국 국립노화연구소와 알츠하이머 협회[NIA-AA(2011)부록 1]에 따라 유력 AD 진단을 받은 경우.
4. 스크리닝 기간의 MMSE 점수가 5점 이상 20점 이하인 경우.
5. 스크리닝 기간의 임상 치매 평가의 전반적 점수(CDR-GS)가 2 ~ 3점 또는 전반적 퇴화 척도(GDS)가 4 ~ 7점인 경우
6. IMP 복용 12 주(포함) 전 안정적으로 도네페질염산염을 1일 10mg 사용한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요법을 진행 중이며 무작위배정 전까지 용법, 용량 변화 없이 도네페질염산염 복용이 가능한 자.
7. 보행 또는 보조 보행(즉, 보행보조기, 휠체어, 또는 지팡이)이 가능한 경우.
8. 임상시험기간 중, 모든 방문에 시험대상자와 동행할 수 있으며, 설문지 작성을 포함한 임상시험 절차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간병인이 있는 경우(간병인의 서면 동의도 받는다)
9. 문해력이 있는 자. 단, 시험대상자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해 문맹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상시험 등록이 가능하며 동의를 받을 시에 참관인의 참석이 필요하다.

임상참여 문의

제외기준
1. 스크리닝 기준 12개월 이내 또는 스크리닝 시 MRI 또는 CT 검사 결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추신경계질병(뇌혈관성치매를 포함한 뇌혈관질환, 경막하혈종, 정상압 수두증, 뇌종양 등)이 있고, 이 질병이 알츠하이머병 이외 치매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이라 판단된 경우.
2. 혈관성 치매, CNS 감염(예,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매독), 두부 손상,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니만-피크병, 헌팅턴병, 파킨슨병, 뇌전증과 같은 기타 기질병의 병력이 있거나, 뇌졸중(스크리닝 기준 12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이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시험자가 판단한 경우.
3. 시험대상자의 인지력 또는 임상시험 절차 수행 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발작 장애를 포함한 신경계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4. 스크리닝 시점으로부터 1개월 이내에 메만틴염산염을 사용한 경우
5. 스크리닝 시점으로부터 최근 2년 이내에 알코올을 포함한 약물 남용 과거력이 있는 경우
6. 비정상적인 비타민 B12, 엽산결핍, 매독, 또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 검사 결과가 치매의 중증도에 영향을 주거나 치매로 기인한 것으로 시험자가 간주한 경우. 주: (a) 치료 후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이 안정적인 시험대상자는 적합하다. (b) 시험대상자가 매독 검사에서 위양성이었다면,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최종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c)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저하증의 경우, 환자가 약물치료를 받고 있고 연구 기간 중 악화되지 않을 것으로 시험자가 판단한 경우 연구 등록이 가능하다.
7. 스크리닝 시점에 Modified Hachinski 허혈 점수^(33- 35)가 >4인 경우.
8. 시험대상자에서 알츠하이머병 이외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인지기능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억장애, 정신분열병 또는 정신분열정동장애, 양극성장애, 현재 주요 우울병 삽화, 정신병, 공황, 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DSM-5 질환이 있는 경우
9. 스크리닝 시점에 심방 및 심실 전도장애를 포함한 임상적으로 유의한 ECG 이상이 있고 시험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시험자가 판단한 경우
10. 스크리닝 시점으로부터 지난 6개월 (즉, 24주) 이내 불안정협심증, 심근경색증, 일과성 허혈 발작, 또는 관상동맥 우회로를 포함한 관상동맥 중재술 이력이 있고 시험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시험자가 판단한 경우
11. 불안정하거나 심한 조절되지 않는 위장장애가 있는 경우(예, 급성 또는 활동성소화성궤양)
12. 불안정하거나 심한 조절되지 않은 천식 또는 폐색성 폐질환이 있는 경우.
13. 스크리닝 실험실 검사 결과, AST 및/또는 ALT 가 ≥ 3×정상 상한(ULN),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 1.5×ULN,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CCr)이 < 50mL/min/1.73m2 (CKDepi, Cockroft-Gault, MDRD 공식으로 산출)인 경우. 주: 기타 사유(예, 저체중)로 인해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50 mL/min/1.73m2 미만인 경우, 신장전문의 또는 내과전문의의 컨설팅을 기반으로 해당 시험대상자는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신장전문의 또는 내과전문의의 컨설팅 결과에 근거하여 시험자의 최종 확인을 근거 문서에 기록해야 한다.
14. HbA1c > 9.0%으로 정의된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이 있는 경우
15. 도네페질염산염, 메만틴염산염, 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IMP 의 어떠한 성분에라도 이전에 과민성이 있었던 경우.
16.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와 같은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
17. 정제를 삼킬 수 없는 경우.
18. 휴약기보다 짧은 기간 이내(즉, 휴약기는 각 약물의 5× 이상의 반감기로 정의된다) 허용되지 않는 병용 약물에 대해 현재 또는 이전에 노출되었고 베이스라인 전에 중단할 수 없거나 삼킬 수 있는 대체 의약품으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임상시험 기간 동안 금지된 약물의 사용 계획이 있는 경우
19. 최근 5년 이내의 고형암 및 혈액암을 포함한 악성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완전히 절제되어 완치된 것으로 간주된 피부의 기저세포암 및 편평상피암, 자궁경부 상피내암종, 비전이성 전립성암은 등록 가능). 주: 유지 요법을 받지 않고 최근 5년 이내에악성질환 이력이 없는 암경험자는 연구 등록이 가능하다.
20. 임상시험 참여 기간 동안 피임에 동의하지 않거나 또는 임신 또는 모유 수유 중인 경우
21. 서면 동의 시점에 85세 이상 여성으로, 저체중으로 인해 도네페질염산염 10mg 을 복용할 수 없을 것으로 시험자가 판단한 경우.
22. 스크리닝 시점으로부터 6개월 (즉, 24주) 이내 다른 IMP 또는 임상시험용 의료기기를 사용했거나 치매 백신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우.
23. 기타 사유로 시험자에 의해 시험대상자가 임상시험 참여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임상참여 문의

중재군 배치 방법 병행(Parallel) 중재군수 2
대상자 배정 방식 무작위 배정(Randomized) 눈가림 종류 이중 눈가림(Double Blind)
의약품 투여기간 2020년 01월 ~ 2022년 06월 의약품 투여방법 시험약, 투여량, 및 투여 방법 투여량/ 약물 코드: - 5/10 mg (BPDO-1603-L3) - 10/10 mg (BPDO-1603-L2) - 15/10 mg (BPDO-1603-L1) - 20/10 mg (BPDO-1603) 시험약 성분: 메만틴염산염 및 도네페질염산염의 고정-용량 복합제 (FDC). 시험약은 1일 1회, 1정을 경구로(음식과 함께 또는 따로) 가급적 일정 시간 에 투여한다. 시험약은 황색의 장방형 모양의 필름코팅정(속방형[IR])으로 한 면에 5/10, 10/10, 15/10, 또는 20/10으로 각인되어 있다. 적정 기간 동안 1 군 시험대상자는 다음 용량의 시험약을 투여받는다: - 제 1 주(제 1~7 일[ 연장 불가 ]): 5/10 mg (BPDO-1603-L3) - 제 2 주(제 8~14 일[ 연장 불가 ]): 10/10 mg (BPDO-1603-L2) - 제 3 주(제 15~21 [+21] 일): 15/10 mg (BPDO-1603-L1) 유지 기간 동안 1 군 시험대상자는 다음 용량의 시험약을 투여받는다: - 제 4 주부터 24 주까지(제 22[+21]~168 일): 20/10 mg (BPDO-1603) 총 치료 기간은 24 주로, 3 주의 용량-적정기간과 21 주의 용량-유지기간으로 구성되 어 있다. 유지 용량은 20/10 mg (BPDO-1603)이다. 용량-적정기간은 연장 가능하나, 환자가 첫 IMP 투여(제 1 일) 후 늦어도 7 주 시작일 (제 43 일)에 20/10 mg 복용을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환자는 본 시험에서 중도 탈락 될 것이다. 용량-적정기간이 연장되었더라도 전체 치료 기간은 총 24 주로 고정되며 용량-유지 기간이 연장되지 않는다. 대조약 (도네페질염산염), 투여량, 및 투여 방법: 투여량/약물 코드: 10 mg (BPDO-16031) 대조약 성분: 도네페질염산염 대조약은 1 일 1 정을 경구로(음식과 함께 또는 따로) 가급적 일정 시간에 투여한다. 대조약은 황색의 원형 필름코팅정(IR)이다. 대조약은 총 24 주 동안 2 군에서 투여된다. 시험약 위약, 투여량, 및 투여 방법 시험약에 상응하는 위약은 각 시험약(BPDO-1603-L3, BPDO-1603-L2, BPDO- 1603-L1, BPDO-1603)과 성상, 투여량, 투여 방법이 동일하지만 활성성분이 포함되어 있 지 않다. 2 군 시험대상자는 시험약 위약을 투여받는다. 대조약 위약, 투여량, 및 투여 방법 대조약 위약은 대조약과 성상, 투여량, 투여 방법이 동일하지만 활성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조약 위약은 총 24주 동안 1군에서 투여된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 베이스라인부터 제 24주까지 SIB 의 총점 변화 제 24주의 CIBIC-plus 총점 (베이스라인 점수는 Clinician Interview-based Impression of Severity[CIBIS]에서 확보한다)
2차 유효성 평가변수 베이스라인부터 제 12주까지 SIB의 총점 변화 제 12주의 CIBIC-plus 총점 베이스라인부터 제 12, 24주까지 19-item Alzheimer's disease cooperative study-activities of daily living inventory(ADCS-ADL19)의 총점 변화 베이스라인부터 제 12, 24주까지 Neuropsychiatric inventory(NPI)의 총점 및 영역 점수 변화 스크리닝 시점부터 제 24 주까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의 총점 변화 스크리닝 시점부터 제 24 주까지 Clinical Dementia Rating Global Score(CDR-GS)의 변화 스크리닝 시점부터 제 24주까지 Clinical Dementia Rating Sum of Boxes(CDR-SB) 총점의 변화 스크리닝 시점부터 제 24주까지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의 변화 베이스라인부터 제 12 및 24주까지 Quality of life-Alzheimer's disease(QOL-AD)의 총점 변화
최초 임상시험자 선정일 43888